1. 소식
  2. arrow_forward_ios

새 소식

태그
검색
전체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바이오 지능 연구실 학생들, 2017 국제 로보컵 대회 우승

- 인공지능 로봇 AUPAIR, 소셜 홈로봇 부문 최고점 통과 … 종합 1위 2017년 7월 30일 개최된 국제 로보컵 대회(RoboCup)에서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바이오 지능 연구실(BI Lab.)의 대학원생들이 우승을 하였습니다. 이범진(팀 리더), 최진영(테크니컬 리더), 박경화, 이충연, 백다솜, 패트릭 이마스, 한철호, 한동식, 최성준 학생으로 구성된 본 팀은 '인공지능 로봇 AUPAIR' 를 만들어 대회에 참가하였고, 소셜 홈로봇 부문(RoboCup@Home SSPL 리그)의 8개 시나리오 과제를 모두 최고의 점수로 통과하여 종합 1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은 경기 1일, 2일차에 사람 찾기, 칵테일 파티, 가정 환경 심부름 등의 부문에서 모두 1위로 4강에 진출하였습니다. 이어 2일, 3일차에는 레스토랑 주문, 투어 가이드, 고난도 심부름 등의 시나리오에서도 모두 1위를 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습니다. 마지막 결승 과제는 장기자랑으로, AUPAIR 로봇은 딥러닝 기반 시각대화 능력을 데모하여 호주 시드니 공대(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를 큰 점수차로 누르고 우승하였습니다. 국제 로보컵 대회(RoboCup)는 1997년 로봇 축구 대회(RoboCup Soccer)로 시작하여 전세계를 순회하며 매년 개최됩니다. 이 대회는 올해 20년째를 맞이하는 권위 있는 자율이동로봇 국제대회로, 올해는 일본 나고야시에서 7월 27일부터 30일까지 4일 동안 개최되었습니다....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이재욱 교수, 10년간 최다 피인용 논문상 수상

서울대 공대(학장 이건우)는 컴퓨터공학부 이재욱 교수가 반도체 회로 설계 분야의 최고 컨퍼런스중 하나인 ‘IEEE 초고집적 회로 심포지엄(IEEE Symposium on VLSI Circuits, 이하 VLSI 심포지엄)’에서 ‘10년간 최다 피인용 논문상(10-Year Most Frequently Cited Paper Award)’을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VLSI 심포지엄은 IT분야 세계 최대 학술단체인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주관하는 반도체 회로 설계 분야의 최고 권위의 학술대회이다. 이 상은 학술대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발표된 900여편의 논문 중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에 수여된다. 수상 논문은 이 교수가 2004년 6월 VLSI 심포지엄에 제 1저자로 발표한 “A Technique to Build a Secret Key in Integrated Circuits fo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Applications”으로, 이듬해 출판된 저널 논문 등을 포함하여 총 1,000회 이상 인용되었다. 논문은 컴퓨터 보안을 위해 복제할 수 없는 비밀 키(Secret key)인 ‘Physical Uncloneable Function(PUF)’를 생성해주는 회로기술에 대한 내용이다. 해당기술은 최근 일본 캐논사의 카메라 정품인증을 위한 RFID 태그와 삼성전자의 IoT 프로세서의 보안 강화를 위해 적용되는 등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교수는 “연구자로서 매우 영광스러운 수상이다. 후속연구를 통해 PUF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주신 전 세계의 모든 연구자들께 감사드린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편 시상식은 오는 6월 6일 일본 교토에서 열리는 VLSI 심포지엄 30주년 기념식에서 이뤄진다....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장병탁 교수, 정보통신 부문 홍조근정훈장 수상

[과학·정보통신의 날]"4차 산업혁명·지능정보사회 선도"…124명에 훈·포장 과학기술 진흥, 정보통신 발전 유공자 124명이 정부 포상의 영예를 안았다.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할 주역이다. 제50회 과학의 날, 제62회 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이 지난 21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렸다. 행사는 21일 과학의 날, 22일 정보통신의 날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 유공자들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열렸다.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으로 국가 발전 의지를 다지는 자리다. 미래창조학부, 방송통신위원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김명자), 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회장 이계철)이 주관했다. 정부는 기념식에서 유공자 124명에게 훈·포장,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표창을 시상했다. 33명에게 훈장, 14명에게 포장, 34명에게 대통령 표창, 43명에게 국무총리 표창이 수여됐다. 과학의 날 50주년을 맞이하는 자리여서 더욱 뜻 깊었다. 기념식에 참석한 700여명의 주요 인사와 수상자, 가족은 과학기술 반세기와 정보통신 성과를 돌아보는 영상을 지켜보고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 선도 의지를 다졌다. 과학기술 진흥 부문에서 훈장 29명, 포장 9명, 대통령 표창 19명, 국무총리 표창 25명 등 총 82명이 정부 포상을 받았다. 최고 영예인 과학기술훈장 창조장은 이상준 포항공대 교수, 이현구 서울대 명예교수, 전국진 서울대 교수가 수상했다. 외국인으로는 크리스티안 크라예프스키 전 독일 자일란트주 재무장관이 과학기술훈장 진보장을 받는 기쁨을 누렸다. 크라예프스키 전 장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유럽연구소 설립 시 행정 지원으로 양국 협력 증진에 기여했다. 정보통신 진흥 부문에서 훈장 4명, 포장 5명, 대통령 표창 15명, 국무총리 표창 18명 총 42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장병탁 서울대 교수가 홍조근정훈장, 조충호 고려대 교수가 녹조근정훈장, 정윤식 강원대 교수와 유혁 고려대 교수가 옥조근정훈장을 각각 수상했다. 산업 분야에서는 근거리무선통신(NFC) 국산화에 기여한 김성완 쓰리에이로직스 이사 등 4명이 산업포장을 받았다. 정부는 정보통신의 날이 체신의 날로부터 출발한 점을 고려해 김기덕 서청주우체국 우정주사보에게 대통령 표창을 수여했다. 김 주사보는 우편물류과 소속으로 평소 집배 업무를 성실히 수행했다. 미래부는 정보통신과 타 산업 분야 융합을 촉진한 개인·단체에게 장관 표창(24명)을 시상했다. 과학기술 진흥에 기여한 과학기술 종사자 182명, 우수과학교사 240명도 표창했다. 우수과학어린이 5811명이 미래부 장관 상장을 받았다....
포스트 대표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