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arrow_forward_ios
새 소식
전체
제23회 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뛰어난 성과 올린 학생들
2017년 2월 7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제 23회 휴먼테크논문대상' 시상식에서 우리 학부의 학생들이 CSE 분야 1,2,3등과 장려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김동영 박사과정생(논문지도: 유승주 교수)이 논문제목 "A Novel Zero Weight/Activation-Aware Hardware Architecture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로 금상(CSE 분야 1등)을 수상하였습니다. 정진홍 학생은 은상 수상자(CSE 분야 2등)로, 이정우 학생은 동상 수상자(CSE 분야 3등)로 선정되었습니다(논문지도: 강유 교수). 아울러, 장려상도 김지홍 교수님의 논문지도를 받은 박지성 학생과 한상욱 학생이 나란히 수상하였습니다. 이로써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분야의 8개 상 중, 5개가 우리 학부 학생들에게 수여되었습니다. 휴먼테크 논문대상은 매년 과학기술 분야의 최우수 논문에 주어지는 상으로 삼성전자가 후원하고 있습니다. [제 23회 휴먼테크논문대상 CSE 분야 수상자 및 논문 제목] 금상: 김동영 / 박사과정생 / A Novel Zero Weight/Activation-Aware Hardware Architecture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은상: 정진홍 / 박사과정생 / BePI: Fast and Memory-Efficient Method for Billion-Scale Random Walk with Restart 동상: 이정우 / 학사과정생 / CTD: Compact Tensor Decomposition for Multi-way Data 장려상: 박지성 / 박사과정생 / DAC: Dedup-Assisted Compression Scheme for Improving Lifetime of NAND Storage Systems 장려상: 한상욱 / 박사과정생 / Improving File System Performance of Mobile Storage Systems Using a Copyless Defragmenter...
이광근 교수 연구진의 Inferbo 기술, Facebook Research 홈페이지 커버를 장식
이광근 교수 연구진의 소프트웨어 오류 검출 기술이 Facebook에 도입되었다. Inferbo라는 분석기로 Facebook Research 홈페이지 커버를 장식하며(2017년 2월 6일 미서부시간 9:00개재) 전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도입된 Inferbo분석기는 Facebook내부에서 사용중인 Infer 분석기의 근간이 되는 개별 분석 (modular analysis) 을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배열 접근 오류를 찾아내는 기술이다. 개별 분석은 큰 소프트웨어의 각 부분을 따로 분석하고 그 정보를 한데 엮어 결과를 내는 기술로서 Facebook 과 같이 거대한 소프트웨어를 많은 사람들이 빠르게 개발하는 환경에는 필수이다. 기존에는 비교적 간단한 성질을 검사하는데 쓰였지만, 이 연구를 통해 배열 접근 오류 같은 복잡한 성질을 검사하는데도 이용할수 있게 되어 정적 분석 분야의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 Inferbo 분석기는 Infer분석기에 포함되어 GitHub 를 통해 모든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Facebook 내부 개발자들뿐만 아니라 전세계 개발자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난 11~12월 이광근 교수의 Facebook 방문 연구를 통해 진행된 것으로서 박사과정 허기홍, 조성근 학생이 참여하였다. 자세한 내용과 전세계 반응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Facebook Research Homepage : https://research.fb.com Hacker News : https://news.ycombinator.com/item?id=13583097 Facebook Infer GitHub : https://github.com/facebook/infer...
전기·전자·컴퓨터 분야 미래 7대 기술 강연회 개최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와 전기·정보공학부의 교수진은 1월 17일(화)~18일(수) 양일에 걸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신공학관에서 초중고생 및 대학생을 비롯하여 미래 기술에 관심있는 많은 청중들을 대상으로 미래 7대 기술에 대한 강연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와 전기·정보공학부에서는 2016년 개교 70주년을 맞아 동문, 교수, 학부와 대학원 재학생 등의 제안을 받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기·전자·컴퓨터 분야에서의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미래 7대 기술을 선정한 바 있습니다. 1월 17일(화) - 사물인터넷 최성현 교수(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 맞춤형 건강의료기술 서종모 교수(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조남익 교수(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1월 18일(수) - 인공지능 장병탁 교수(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빅데이터 강유 교수(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로봇 이제희 교수(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자율주행자동차 서승우 교수(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 추후 인터넷 강의 예정 http://cse.snu.ac.kr/sites/default/files/node--notice/1.%20%EC%8D%B8%EB%84%A4%EC%9D%BC.jpg...전기·전자·컴퓨터 분야 미래 7대 기술 강연회 참여 안내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와 전기·정보공학부에서는 2016년 개교 70주년을 맞아 동문, 교수, 학부와 대학원 재학생 등의 제안을 받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기·전자·컴퓨터 분야에서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미래 7대 기술을 선정하였습니다. 이 기술들은 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문화도 변화시킬 핵심 기술로 생각됩니다. 우리나라가 이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잠재력을 가진 젊은이들이 큰 관심을 갖고 공부하여 이 분야의 연구를 이끌어갈 우수한 인재로 성장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에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와 전기·정보공학부의 교수진이 7대 기술에 대한 자그마한 강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이 강연회는 녹화되어 인터넷에도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 강연을 통해 저희가 많은 분들에게 관련 기술에 대한 통찰과 비전을 조금이나마 드릴 수 있다면 더 없는 보람이라고 생각합니다. 협찬을 해 주신 동부문화재단과 동아사이언스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The best way to predict the future is to invent it.” – Alan Kay “The future always belongs to the younger generation.” – Nicolaas Bloembergen 감사합니다. 2017. 1.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장 박근수 전기·정보공학부장 이병호 [ 전기·전자·컴퓨터 분야 미래 7대 기술 강연회 ] ◾ 일시: 2017년 1월 17일(화) ~ 18일(수) ◾ 장소: 서울대학교 신공학관 301동 118호 ◾ 주관: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전기.정보공학부 ◾ 후원: 동부문화재단/동아사이언스 # 초청장 보기 # 사전등록 바로가기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가급적 사전등록 부탁드립니다) [ 관련 기사 ] ◾http://www.dongascience.com/news.php?idx=15718 ◾http://www.dongascience.com/news.php?idx=15671...
Runtime Verification 소프트웨어 무상 기증식 알림
미국의 최첨단 소프트웨어 동적분석툴 개발사인 Runtime Verification사에서 컴퓨터공학부에 관련 교육 활성화, 선진 기술 습득에 활용 가능하도록 RV 제품의 Academic 버전 무상기증을 받았습니다. Runtime Verification Inc.는 미국 일리노이 어바나-샴페인 대학 (UIUC)의 Computer Science 학과의 Grigore Rosu 교수가 설립한 동적분석툴 스타트업 기업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팅에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통해 소프트웨어에 내재된 오류를 분석하는 No.1 동적분석툴입니다. 또한 NASA, NSA, Boeing 등 선진 소프트웨어 기관으로부터 소프트웨어 분석에 있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정립하였다는 찬사를 받고 제품을 공급하였습니다....하순회 교수,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석학회원 선정
축하드립니다. 하순회 교수님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설계의 분야의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 1월 1일부터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석학회원(Fellow)이 되셨습니다. IEEE 회원의 최고 등급인 석학회원은 전기, 전자, 통신 등 각 분야의 10년 이상 경력자인 회원 중 탁월한 자질과 연구 개발 업적으로 사회 발전에 기여를 한 사람을 기준으로 매년 최상위 0.1% 내에서 선정됩니다. 하순회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석사를 거쳐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1994년부터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정형적 컴퓨터 모델에 기반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설계 방법론을 창안하여 관련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권위 있는 다수의 국제학술대회에서 프로그램 위원장 및 의장을 역임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