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식
  2. arrow_forward_ios

새 소식

태그
검색
전체

[이슈와 전망] 5년에 10배 진화한다 <최양희 교수님>

불의 발견, 철기의 발명, 증기기관의 발명과 같은 과학적 진보가 인류의 생활방식과 사회구조에 엄청난 변화와 이득을 주었으나 IT의 영향력에 비하면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IT의 기술혁신은 그 속도가 매우 놀랍다. IT에서는 1년6개월만에 2배씩 향상된다는 잘 알려진 `무어의 법칙'을 적용하면 15년 만에 1000배의 향상이 있겠으며 이는 5년마다 10배의 변화를 의미한다. 변화는 두 가지 방향에서 가능하다. 같은 기능과 품질을 5년 뒤에는 10분의 1 가격으로 만날 수 있거나, 같은 가격을 주고 10배나 뛰어난 성능의 제품과 서비스를 5년 뒤에는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급변하는 것은 지구 역사상 유례가 없었다.인류가 살아온 방식, 사회가 움직인 틀, 산업이 변화해 온 속도 등 모든 것이 5년에 10배라는 엄청난 변화 앞에서는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하고 무력해진다. 한국에서 최근 나타나는 다양한 변혁이 IT의 급격한 도입과 확산의 결과라는 데는 아무도 이의를 달지 않는다. 그러면 우리는 20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IT혁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가치관과 세계관은 어떤 방향으로 수정되어야 IT혁명이 부작용 없이 인류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할 것인가. 가정에서, 학교에서, 사회에서 나름대로 지속되어 오던 질서와 규칙, 그리고 체계가 변화하여야 한다면 어떤 토론과 절차를 거쳐서 진보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무엇보다도 이런 문제를 제기하고 고민하는 사회적 움직임이 이제는 활성화되어야 한다. 체계적인 접근과 연구만이 위의 문제들을 잘 풀어 나가겠으나 직관적인 몇 가지 제안을 한다면 미래예측, 진보된 교육, 롤 모델의 적극적 도입을 들 수 있겠다. 미래사회에 대한 중장기 예측은 매우 어렵지만 사회변화에 대한 대응과 대책을 사전에 준비하기 위하여서 꼭 필요하다. IT혁명이 가져오는 부작용에 대한 소극적인 사후대책이 주를 이루는 이유는 한국에서 미래에 대한 전망과 연구가 미흡하여 선제적 대응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교육내용과 방식을 IT시대에 맞게 고쳐 나가야 한다. 다양성의 증가, 인터액션 속도의 폭발, 참여와 토론방식의 급격한 변화, 극소수 의견의 존중, 이해집단간의 분쟁 격화를 인정하고 역으로 활용하는 자세가 교육에서 특히 필요하다. 현재와 같은 일방적인 지식전달, 스테레오 타입의 양산을 지향하는 커리큘럼 및 평가 방식, 교육기관과 학생의 서열화,획일화된 교육행정은 근본적인 리모델링이 필요하다. 교육개혁은 IT혁명에서 비롯된 사회갈등의 증폭을 사전에 최소화하는데 꼭 필요한 수단인 것이다. 남이 잘 되는 것을 배 아파하고 남에 대한 칭찬에 인색한 것이 한국인의 정서라고 한다. IT가 이를 확대재생산하는 도구로 남용되고 있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기도 하다.이제부터라도 훌륭한 개인ㆍ기관ㆍ기업을 롤 모델로 발굴하고 칭찬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포츠나 연예계에는 롤 모델이 많지만 다른 분야에는 롤 모델이 참으로 적다. 존경하는 정치인이 있는가. 존경하는 기업인이 있는가. 과학자ㆍ종교인도 마찬가지이다. IT분야에는 부침이 매우 크므로 롤 모델이 탄생하기 어렵다. 스티브 잡스ㆍ빌 게이츠ㆍ주커버그처럼 아주 유명한 롤 모델 뿐 만 아니라 작은 성공, 작은 공헌을 한 우리 동네, 우리 학교, 우리 회사의 롤 모델이 많을 때에 IT혁명이 자칫 가져 올 수 있는 상실감과 무기력이 청소년들에게서 사라질 수 있을 것이다. IT개발, IT산업육성, IT수출이 논의의 중심이 아니라 이제는 IT사회의 준비, IT와 인류의 조화를 생각할 때이다. 글쓴이: 최양희 교수 yhchoi@snu.ac.kr...

이광근 교수 연구진, 올해 ACM PLDI에 두 편의 논문 동시 게재

컴퓨터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학회에 논문을 게재하는 것은 SCI저널에 발표하는 것보다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학부의 연구팀이 프로그래밍언어시스템 분야에서 명실공히 최고로 인정받는 학회에 순수 국내 연구로 두 편의 논문이 한꺼번에 게재되는 성과를 냈다. 컴퓨터 공학부의 이광근 교수(SW무결점연구센터 장,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연구진이 올 해 ACM PLDI(Programming Language Design and Implementation)에 두 편의 논문을 발표하게 되었다. PLDI에 국내 연구가 논문으로 채택된 것은 처음이고, 그것도 두 편이 동시에 게재승인되는 드문 성과이다. 1. 첫번째 논문은 그동안 불가능했던 4가지 성능을 모두 갖춘 정적분석(static analysis) 기술을 제시한다. 그동안 프로그램 정적분석기가 동시에 갖출 수 없었던 4가지 성능이 있다: 정확하게(precise) 실행상황을 모두 포섭하면서(sound) 초대형의 프로그램을(scalable) 한꺼번에 분석하기(global analysis)였다. 이것이 불가능해서 어느 하나를 포기하면서 정적분석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늘 있어왔다. 본 논문은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것만 계산하기(sparse analysis)기법을 정리한 이론적인 틀과 함께 100만 라인되는 C프로그램을 통째로 자세하고 안전하게 분석할 수 있었던 실험결과를 보인다. 논문 리뷰중: "PLDI papers have been accepted that were simply instances of this framework. The result should be highly influential on future work in sparse analysi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rse Global Analyses for C-like Languages Hakjoo Oh, Kihong Heo, Wonchan Lee, Woosuk Lee, and Kwangkeun Yi ACM SIGPLAN Conference on Programming Language Design and Implementation 2012 2. 두번째 논문은 최근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Scala, C++, Haskell등)에서 점점 유용하게 쓰이는 암시적 프로그래밍(implicit programming)의 핵심을 정리한 이론을 제시한다. 암시적 프로그래밍은 많은 언어에서 여러 형태로 구현됐으나 원칙에 대한 고민 없이 설계되어 여러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암시적 프로그래밍의 설계 원리에 대한 이론을 제안한다. The Implicit Calculus: A New Foundation for Generic Programming Bruno Oliveira, Tom Schrijvers, Wontae Choi, Wonchan Lee, Kwangkeun Yi ACM SIGPLAN Conference on Programming Language Design and Implementation 2012...
포스트 대표 이미지

인터넷과 정치 <최양희 교수님>

2012년에는 총선, 대선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정치로 가득한 한 해가 될 전망이다. 이번 선거에는 인터넷이 적극적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과거의 선거와 크게 다를 것이다.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선거운동이 허용됐고 인터넷 여론 조사와 모바일 투표가 도입되어 실시간 정치, 직접민주주의로 한 걸음 다가서게 될 것이다. 인터넷은 정보통신 수단을 넘어 이제는 정치를 주무르는 막강한 도구가 됐다. 인터넷을 발명하고 발전시킨 과학기술자들은 이를 예견하였을까? 아마 아닐 것이다. 이제 인터넷의 영향이 지대해진 만큼 인터넷 정치, 인터넷 사회가 잘 굴러가도록 과학자들은 끊임없이 인터넷을 개선하고 보완해야 한다. 지금 인터넷은 정치를 감당하기에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민주주의의 기본은 모든 시민의 의견이 고루 반영되는 '1인 1표' 투표제도에 근거를 둔다. 선거과정에서도 공정한 토론과 홍보를 가정한다. 그러나 지금의 인터넷은 정보 활용에 능숙한 집단의 의견이 과도하게 반영될 위험이 크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블로그, 이메일, 문자메시지, 정치 애플리케이션(앱)이 범람할 것이고 이에 능숙한 디지털 시민과 그렇지 않은 아날로그 시민의 정치적인 의견 표시 기회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이런 디지털 격차를 해소할 묘안이 필요하다. 선거에서 시민 개개인의 정치적 의사 결정은 인터넷에 유통되는 각종 정보에 의존할 확률이 높다. 좋은 정보, 정확한 정보를 다양하고 신속하게 배포할수록 디지털 민주주의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따라서 조작된 정보, 틀린 정보, 과장된 정보를 신속히 발견하고 조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나 방대한 인터넷 정보를 검열할 수 없다. 정보의 실체가 밝혀진다 해도 실명이 아닌 경우 처벌하기도 어렵다. 클린 정치가 인터넷에서는 후퇴할 우려가 높다. 프라이버시와 공공 이익을 절충할 묘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인터넷 정치는 자칫 진정한 토론과 정책 대결보다 포퓰리즘과 말잔치를 부추길 위험이 크다. 140자로 제한되는 '트윗', 몇 줄에 그치는 문자메시지나 이메일, 1~2분 남짓한 '유튜브' 동영상으로는 정치 후보나 정당의 진정성과 공약을 판단하기 어렵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 정치는 토론이 없는 '패거리 정치'라는 오명을 갖고 있지 않은가. 한국의 정당들은 정책 차이가 모호하며 이를 부끄러워하지도 않는다. 혹시 집권하거나 당선만 된다면 민주주의 제도나 과정도 왜곡할 수 있다고 여기는 후보들이 주변에 많지 않은지 살펴볼 때다. 인터넷이 이런 정치 악습을 뿌리 뽑는 효과적인 도구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글쓴이: 최양희 교수(미래인터넷포럼 의장) yhchoi@snu.ac.kr...

인터넷의 미래에 투자하라 <최양희 교수님>

인터넷이 세상 변화의 중심이 됐다.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분야에서 인터넷이 혁신과 변화를 이끌고 있다. 검색 서비스, 소셜네트워크, 스마트폰,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로 대표되는 인터넷은 현재 20억명이 사용하는 인류 역사상 최고 발명품이다. 인터넷은 한 국가의 경쟁력과 미래를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다. 10년 후에는 40억 사용자와 더불어 1000억개가 넘는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되고 상상을 넘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폭발적으로 팽창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인터넷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은 OECD, G20, UN 보고서나 통계에서 항상 인터넷 선진국으로 간주된다. 브로드밴드 보급률, 모바일 인터넷 보급률에서 항상 선두를 달린다. 인터넷에 대한 꾸준한 정책과 관심, 통신사업자들의 지속적인 투자와 더불어 새로운 기술을 선호하는 국민성이 결합한 결과다. 그러나 과연 10년 뒤 미래에도 한국이 인터넷 강국으로 군림할 수 있을까. 매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는 인터넷 대표산업이 없다. 단지 하드웨어와 통신사업자만 있을 뿐이다. 인터넷의 기본인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산업에도 글로벌 한국기업은 없다. 연간 2조달러가 넘는 막대한 인터넷 세계 시장에서 한국 기업, 한국 기술, 한국 제품이 보이지 않는다. 위기가 기회라고 하지 않는가. 다행히 인터넷은 지금 격변기다. 10년 뒤 인터넷은 모두 새로운 기술과 제품으로 채워져 있을 것이다. 현재 인터넷은 단 1%도 남아 있지 않을 것이다. 미국이나 유럽도 최근에야 미래인터넷 연구개발에 착수했다. 우리가 미래인터넷에 투자하고 경쟁한다면 충분한 기회가 있을 것이다. 미래인터넷을 향한 경주는 모든 나라, 모든 기업이 다같이 출발점에 서 있다. 지난해 방송통신위원회는 '미래를 대비한 인터넷 발전 계획'을 발표했다. '새로운 10년, 인터넷 글로벌 리더 도약'이라는 비전을 통해 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의 혁명적 변화에 대한 선도적 대처, 세계 최고 스마트 네트워크 구축, 효율적인 대용량 콘텐츠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노드 개발, 미래 선도형 서비스 모델 발굴 등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다. 자칫 네트워크 강국 지위를 잃을 수도 있는 시점에서 시의적절한 조치라 생각된다. 미래인터넷에 관한 세계 최고 지도자들이 참석하는 '글로벌 미래인터넷' 행사도 최근 서울에서 개최됐다. 이제 우리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는 새로운 인터넷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창의성과 실력으로 무장한 젊은 연구자 양성과 함께 사람들이 바라는 인터넷, 미래에 필요한 인터넷이 무엇일까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자세가 필요하다. 정부는 미래인터넷을 국가 어젠다로 채택함과 동시에 창의성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제도 개혁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기업은 글로벌 역량을 키우고 새로운 분야를 선점하는 동시에 도전적인 벤처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품질 좋고 값싸고 인류 발전과 행복에 기여하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통하는 그런 인터넷이 필요하다. 하루에도 몇 시간씩 정보검색을 해야 겨우 필요한 정보를 얻는 단순한 인터넷이 아닌 똑똑한 인터넷이 요구된다. 엄청난 규모로 증가하는 인터넷 상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공공 서비스 개혁을 앞당겨야 한다. 올바른 시민이라면 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소통하는 민주적 인터넷이 미래인터넷이 가져야 할 모습이 아닐까. 한국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인터넷에 과감히 투자할 시기를 놓쳐선 안 된다. 글쓴이: 최양희 교수(미래인터넷포럼 의장) yhchoi@snu.ac.kr...

하버드大 학생도 우리 앱으로 강의 공유. Havard University students share lectures using an app developed by SNU CSE.

서울대 컴퓨터 동아리 - 앱 출시하고 3개월 만에 국내외 20여개 대학서 사용 "프로그램은 생명체처럼 어떻게, 어디까지 성장할지를 알 수가 없어요. 그게 미치도록 재밌어요." 미국 최고 명문 하버드대 학생들도 이용하는 대학생 소셜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앱) '클래스메이트(klassmate.com)'를 개발한 이두희(28)씨는 14일 "그저 재밌어서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4학년 재학 중이던 2007년 컴퓨터 동아리 '와플스튜디오'를 만들었고, 그중 최정예 10여명이 따로 구성한 프로젝트 그룹 '울트라캡숑'에서 맏형 역할을 하고 있다. 울트라캡숑은 지난 5월부터 클래스메이트 제작을 시작했다. 원래 구상은 같은 수업을 듣는 대학생들이 익명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었다. 제작 과정에서 같은 학교 학생들의 채널인 'zoo'와 다른 학교 학생들 간의 채널인 'safari'가 추가됐다. 도중에 하버드대 행정학과 졸업생 아벨 아쿠나(22)가 합류하면서 이 앱은 미국으로까지 범위를 넓히게 됐다. 아쿠나가 현지 운영진으로 나서면서 보스턴 지역 10개 대학 학생 1000여명이 사용하고 있으며, 하버드대 학보인 '하버드 크림슨'에도 소개됐다. "같은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서로 공유할 만한 것이 많은데, 말문이 틔기 전엔 어색하잖아요. 익명으로 편하게 얘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래서 만들게 됐어요. 우리 신조가 '필요한 것이 있으면 만들자'거든요." 이씨는 "학생들이 클래스메이트를 통해 강의 내용을 서로 묻기도 하고, 교수님 흉도 보고, 오프라인 모임도 하며 즐겁게들 논다"고 말했다. 거기에 zoo와 safari까지 인기를 끌면서, 9월 오픈한 이 서비스 이용자는 3개월 만에 국내외 20여개 대학 7000여명으로 늘었다. 이씨는 2006년 '서울대 정보화 포탈 3만명 신상 정보 유출'을 학교에 제일 처음 알려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주인공이기도 하다. 이씨와 동료들은 수업이 끝나면 동아리방에 모여 앉아 밤새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해 수다를 떨었다. 2008년 이들이 만든 서울대학생용 강의 평가 웹사이트 'SNUEV(snuev. com)'는 현재 서울대 재학생 정원에 가까운 2만여명이 가입했다. 기사원문은 다음 주소에 있습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2/15/2011121500143.html...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장래혁 교수님 美전기전자공학회(IEEE)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정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장래혁 교수가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정되었다.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는 전기·전자·컴퓨터·통신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대 권위와 규모의 학회로 175개국 40만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전세계 전기·전자공학, 컴퓨터 과학, 통신 분야 관련 총 문건의 30%를 출간하고 있으며, 900여개의 산업 표준을 제정하였다. IEEE 회원의 최고 등급인 Fellow는 반도체, 전기, 전자, 통신 등 각 분야에서 10년 이상 경력자인 학회의 senior member 중 탁월한 자질과 연구개발 업적으로 궁극적으로 사회복지(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사람을 기준으로 매년 선정한다. 개인 업적과 기술성취 실적, 전문 분야 총괄 경력 등 7가지의 까다로운 선정기준으로 Fellow 자격을 부여하며, 매년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회원증서 수여식을 갖는다.이번에 장래혁 교수가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정되어 최상위 0.1% 내에 있는 회원만이 가질 수 있는 IEEE Fellow 자격을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내에서만 현재 총 9명의 교수가 역임하게 되었다. 이는 국내외의 학계 내에서도 굉장히 드문 케이스이다. 장래혁 교수는 저전력 시스템 연구분야에서 국내를 대표하는 연구자로 서울대 제어계측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1997년부터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전력 연구실을 이끌고 있으며 현재 공대 정보부학장을 맡고 있다.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Inc.) SIGDA(Special Interest Group on Design Automation),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c.)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세계 최강 연구실을 가다 - 컴퓨터구조연구실 2편

내일을 향해 쏴라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필자는 1991년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학부과정을 마치고 석박사 연구를 시작했다. 학부 때 컴퓨터의 내부 구조를 이해했다면, 이제는 새로운 방식으로 구조를 들여다보고 여러 가지로 실험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선택한 곳이 컴퓨터 구조 연구실이다. 연구 방식은 기존 컴퓨터 구조의 장단점을 분석해 개선된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전 세계의 두뇌들이 이와 비슷한 연구를 동시에 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았다. 나름대로 창의적인 방식을 내놓고 보면 이미 다른 논문에서 다룬 적이 있었다. 아이디어는 좋았어도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가 영 딴판인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그러다가 조금이라도 성능이 향상된 결과가 나오면 마치 대단한 발견이라도 한양 기뻐했다. 여러 번 시행착오를 겪다가 1995년 국제학술 대회에 처음으로 필자의 논문이 채택됐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법을 결합해, 하드웨어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를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는 아이디어를 냈다. 당시 컴퓨터 구조학계의 큰 트렌드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역할 배분이었기에 관심을 받을 수 있었다. 이때부터 좀 더 큰 무대에서 세계적인 학자들과 자리를 함께 하면서 뛰고 싶다는 꿈을 꾸기 시작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필자는 미국 펜실베니아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시작했다. 컴퓨터 산업의 종주국인 미국, 그중에서도 펜실베니아대는 세계최초의 전기 컴퓨터인 에니악이 탄생한 곳이다. 필자는 그곳에서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컴퓨터 시스템 개발 방법을 연구했다. 그리고 지금은 이 분야에서 유명한 소프트웨어인 시뮬링크(Simulink)를 개발하는 매스웍스사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다. 컴퓨터 구조 연구실에서 단 1%라도 더 개선하기 위해 흘린 피땀이 있었기에 지금의 꿈을 이룰 수 있었다. 컴퓨터 구조 연구실의 주요 연구 주제인 모델기반 내장형 컴퓨터 개발 기법은 연구 기회가 무궁무진하다.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소비자 제품이 점차 늘어나며 그 복잡도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로 볼 때 아주 유망하다. 많은 젊은 공학도들이 창의력과 도전 정신을 갖고 이 분야에 뛰어 들어 큰 성공을 거두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플래시메모리 개발에 대한 자료는 컴퓨터 구조 연구실을 비롯한 주요 대학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 서울대 전자재료 실험실 아주대 데이터베이스 연구실 연세대 원자선원자막 연구실 성균관대 대용량데이터베이스 연구실 (글쓴이: 김제성 동문) 1991년에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1998년 동 대학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와 미국펜실베니아대 컴퓨터정보학과에서 박사후 연구를 한 뒤 현재 매스웍스사에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