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ommunity
  2. arrow_forward_ios

News

Tags
Search
all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Google PhD Fellowship Program 수상자로 선정

우리 학부 박사과정에 재학중인 김병창 학생(김건희 교수; 시각 및 학습 연구실)과 유재민 학생(강유 교수; 데이터 마이닝 연구실)이 2019 Google PhD Fellowship Program에서 각각 Natural Language Processing과 Machine Learning 분야의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2009년부터 시작한 Google PhD Fellowship Program은 여러 컴퓨터 관련 분야(Algorithms, Optimizations and Markets, Computational Neuroscience, Human Computer Interaction, Machine Learning, Machine Perception, Speech Technology and Computer Vision, Mobile Comput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Privacy and Security, Programming Technology and Software Engineering, Quantum Computing, Structured Data and Database Management, Systems and Networking)에서 우수한 연구를 하고 있는 대학원생을 선정해 장학금, 연구 멘토링 그리고 구글 인턴쉽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 기술을 개발하고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김병창 학생은 웹 상에서 정제되지 않은 데이터를 자연어 처리에 활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새로운 태스크를 정의하고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딥러닝 모델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유재민 학생은 주로 그래프 데이터에 대한 기계학습 연구를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딥러닝 모델 압축, 해석 등 기존 모델의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관련 홈페이지] - 김병창 박사과정생 프로필: https://bckim92.github.io/ - 유재민 박사과정생 프로필: https://datalab.snu.ac.kr/~jmyoo/ - 시각 및 학습 연구실 홈페이지: http://vision.snu.ac.kr - 데이터 마이닝 연구실 홈페이지: https://datalab.snu.ac.kr 기사 원문: https://ai.googleblog.com/2019/09/announcement-of-2019-fellowship.html...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2019년 8월 우수학위논문상 수상자 안내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에서는 매 학기 졸업생을 대상으로 우수학위논문상을 수여합니다. 석박사 과정 졸업논문의 경우 논문 심사 위원들이, 학부 졸업 논문의 경우 지도교수가 뛰어난 논문을 선별하여 우수학위논문상 후보로 추천하고, 논문상 심사위원회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2019년 가을학기에는 박사 논문상 수상자 1명, 석사 논문상 수상자 2명, 학사 논문상 수상자 1명을 최종 선발하였습니다. o 박사 논문상 수상자: 박지성 (지도교수: 김지홍) 박지성 학생은 플래시메모리 저장 장치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개선하는 다수의 SSD 최적화 기법들을 개발하였으며, 임베디드시스템분야의 최우수학술대회인 DAC 2016 최우수논문후보 선정을 포함하여 DAC 2018, DATE 2017에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이외 다수의 학술대회에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o 석사 논문상 수상자: 김지석 (지도교수: 유승주) 김지석 학생은 NAND Flash 메모리 칩의 성능 튜닝에 Variational Auto Encoder (VAE)를 적용하여, 숙련된 엔지니어에게 10일 이상 요구되는 성능 튜닝 작업을 하루 이내로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연구결과는 반도체 칩 테스트분야 최고학회인 ITC 2019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o 석사 논문상 수상자: 쿠안춘 (지도교수: 강 유) 쿠안춘 학생은 빠르고 효율적인 딥러닝 연구를 수행하였고, 표준 기법보다 10배 이상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면서도 거의 유사한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는 CNN 모델 압축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우수 학회에 논문을 제출하였습니다. o 학사 논문상 수상자: 신안재 (논문지도교수: 전병곤) 신안재 학생은 머신러닝 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 최적화 수행시 여러 하이퍼파라미터 시퀀스에서 공통적으로 계산되는 부분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중복되는 계산을 없애는 시스템 및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하이퍼파리미터 최적화 수행 시간과 최적화에 사용되는 GPU 자원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이 결과를 인공지능 분야 최우수 학회인 NeurlPS에 제1저자로 제출하였습니다....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바이오 지능 연구실 학생들, 2019 국제 로보컵 준우승

서울대-고려대-부산대-한양대 연합로봇팀 Tidyboy ... 2019 로보컵 준우승 서울대 공대(학장 차국헌)는 서울대-고려대-부산대-한양대 연합로봇팀 Tidyboy가 지난 7일 호주 시드니에서 개최된 2019 로보컵(RoboCup) 실내 서비스 로봇 부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로봇 과제 공동연구팀이기도 한 연합 로보컵팀에는 서울대인공지능센터(센터장 장병탁 공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학생들이 소속되어 있다. 국제 로보컵은 1997년 시작됐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AI 로봇대회다. 올해에는 세계 40여개 국에서 온 약 3,500명이 참가자들이 로봇 축구, 실내 서비스, 산업 자동화, 재난 구조 등의 다양한 부문에서 경쟁했다. 그 중에서도 Tidyboy팀은 실내 서비스 로봇 부문에 참가하여 로봇이 가정 환경에서 사람과 사물, 환경을 지능적으로 인식하고 인간과 음성으로 대화하며 다양한 서비스 임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겨루었다. Tidyboy팀은 우수한 물체인식, 정교한 로봇팔 조작 및 이동 능력을 바탕으로 한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실내를 이동하며 찬장을 여닫고 사용자가 원하는 물건들을 집어 전달하는 등의 실내 서비스 작업 등을 선보였다. Tidyboy 팀은 다른 팀들이 기권하거나 수행에 실패한 고난이도 조작 작업들을 유일하게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현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현장에서 팀을 지휘한 이승준 교수는 “한국 팀이 영국 옥스포드 대학,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 3년 연속 우승팀인 일본 규슈 공대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큰 점수 차로 제치며 준우승을 하게 돼서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한편, 팀을 이끌며 준우승 수상에 큰 기여를 한 서울대 인공지능센터 이충연 연구원(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은 2017 로보컵에서도 우승한 경험이 있다....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
포스트 대표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