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와 지식을 융합하여

컴퓨터 기술의

진화를 선도합니다.

News

송현오 교수 연구진 NeurIPS oral presentation 논문 선정 (상위 0.35%, 77/21575)

NeurIPS 2025 3편 (이중 1편은 Oral Presentation, 최상위 0.35% = 77/21,575 선정) 및 TMLR 1편 게재문맥 복원 기반 중요도 정량화를 활

이영기 교수, 2026년 ACM MobiSys 프로그램위원장 선임

​이영기 교수가 세계적인 모바일 시스템 학술대회인 ACM MobiSys 2026의 프로그램위원장(Technical Program Committee Co-Chair)으로 선임됐다.

이재욱 교수 연구진, 머신러닝 포텐셜(MLIP) 기반 분자동역학 가속을 위한 FlashTP 라이브러리 개발

​분자동역학에서 대두되는 머신러닝 기반 포텐셜 (MLIP)의 학습·추론 단계의 병목인 Tensor‑Product 레이어를 가속하는 GPU 라이브러리인 FlashTP 개발FlashT

유영재 교수, Google Research Scholar Award의 2025년 수상자로 선정

​유영재 교수, Google Research Scholar Award의 2025년 수상자로 선정​한국 교수로는 최초로 AI, NLP 분야에서 수상​컴퓨터공학부 및 첨단융합학부 신임

박재식 교수 연구진, 제로샷 3D 포인트클라우드 정합 기술 ‘BUFFER-X’로 최우수 컴퓨터비전 학회 ICCV 2025 Highlight 선정

사전 정보나 매뉴얼 파라미터 튜닝 없이 동작하는 제로샷 3D 포인트클라우드 정합 기술 개발다중 스케일 적응 정합 파이프라인 및 학습 기반 키포인트 검출기 제거로 일반화 성능 극대화

주한별 교수, 아리랑TV에서 인공지능 강연 및 연구성과 소개

주한별 교수가 아리랑TV 프로그램 With Science, We Live에 출연해 ‘AI는 어떻게 인간을 이해하고 예측하게 되는가’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이번 방송에서는 ​주한

이재진 교수 연구팀, 법원 판결문 내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는 AI 개발

이재진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를 이용해 법원 판결문 내 개인정보를 빠르게 비식별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재진 교수가 이끄는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연구팀은 판결문의 개

이재진 교수 연구팀, 고성능 한국어 LLM 개발

천문학적 비용을 들이지 않고 고성능 한국어 '거대 언어 모델(LLM)’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이 입증됐다. LLM은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

김선 교수 연구실, 세계적 AI 바이오인포매틱스 학회 ISMB 2025에 논문 두 편 동시 게재 성과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김선 교수 연구실 및 (주)아이겐드럭 소속 방동민 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 두 편이 오는 7월 20일 영국리버풀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고 권

서울대 학생 공동창업 AI 스타트업 에임인텔리전스, 세계 최정상 AI 학회서 논문 4편 동시 발표

서울대 학생 공동창업 '에임인텔리전스', ICML 및 ACL 2025 논문 4편 채택AI 모델의 안전성, 보안 취약점 분석 및 방어 기술 등 핵심 문제 해결 기여에임 연구 인턴 1

김건희 교수 연구팀, 자연어처리 최우수학회 NAACL 2025 음성인식 부분 최고 논문상 수상

AI가 사람처럼 말버릇, 추임새, 끼어들기 등 대화 행동을 이해하고 재현하는 음성 대화 기술이 개발되었다.연구팀은 세계 최대 규모의 대화 행동 기반 음성 데이터셋인 Behavior

"AI 속도 따라잡을 '새로운 몸'…창의적 컴퓨터가 미래 가른다"

인공지능(AI)이 두뇌라면 컴퓨터는 AI를 담은 물리적 실체다. 서진욱 서울대 컴퓨터연구소 소장은 11일 “미래의 컴퓨터는 스스로 사고하고 인간과 소통하는 ‘기계 이상의 존재’가

제79회 전기 컴퓨터공학부 졸업기념행사

제79회 전기 컴퓨터공학부 졸업기념행사를 2025년 2월 26일(수) 15시, 301동 118호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졸업기념행사는 총 졸업생 99명(학사 52명, 석사 29명

제 5회 민상렬 장학금 수여식 개최

故 민상렬 교수님의 연구에 대한 열정과 후학 양성의 뜻을 기리고자 '민상렬 장학금'이 제정되었습니다. 민상렬장학금은 컴퓨터시스템 관련 연구업적이 탁월한 대학원생을 매년 1인 선정하

강유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권위 AI 학술 대회 ‘ICLR 2025’ 논문 게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강유 교수 연구팀이 제안한 연구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학회인 ICLR 2025에 채택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올해 13회째를 맞이하는 ICLR (In

컴퓨터분야 쉬운전문용어를 보급한다. 제정위원회 위원장 이광근 교수

"울타리없는 세계경쟁에서 우리 학술이 일류로 앞서가는 장기전 비밀병기요?쉬운 전문용어입니다."이광근 교수가 위원장으로 있는 한국정보과학회 쉬운전문용어 제정위원회가 2024년 1월부

이재진 교수 연구진 창업기업 모레, '최강 한국어 성능' 갖춘 102B 오픈 소스 모델 공개..."GPT-4o·큐원2 모두 능가"

이재진 교수 연구진이 창업한 인공지능(AI) 인프라 솔루션 전문 모레(MOREH, 대표 조강원)는 자체 개발 한국어 파운데이션 대형언어모델(LLM) ‘라마3-모티프-102B(Lla

박재식 교수 연구진, 빠르고 정확한 드래그 기반 이미지 에디팅 기술 개발로 세계 선도

1초 내외로 실행되는 feedforward 방식의 초고속 드래그 기반 이미지 편집 파이프라인 개발최신 드래그 기반 이미지 편집 기술 대비 메모리 사용량 5배 절감 및 처리 속도 7

이재진 교수 연구진, 제 10회 암호분석경진대회 대상 수상

​이재진 교수 연구실 소속의 팀(비밀분쇄기 : 김진표, 김희훈)이 한국정보보호학회가 주최하여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된 "제10회 암호분석경진대회″에서 대상(국방부장관상

이재진 교수 연구진, 삼성 인공지능/컴퓨터공학 챌린지 2024 최우수상 수상

​이재진 교수 연구실 소속의 팀(ShallowSpeed : 배수민, 강민규, 김진표)이 삼성전자 SAIT에서 주최하여 8월 1일부터 10월 6일까지 진행된 "삼성 인공지능/컴퓨터공

2026학년도 1학기 컴퓨터 공학부 다전공 선발

2026학년도 1학기 다전공 선발 계획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가. 신청자격○ 서울대 공통자격: 2개 정규학기 이상 이수하고 33학점 이상 취득한 재학생(복학예정자 포함)○ 타 학부(과)에서 컴퓨터공학부로 복수전공(혹은 부전공)을 신청하는 경우   - 평점평균 2.7 이상   - 컴퓨터공학 관련 교과목 1개 이상 이수자(타 과 개설 교과목 포함) *첨부엑셀 참조.○3학년 이상의 학생들에게 기회를 더 주고자 하니 1,2학년 학생들이 이번에 되지 않더라도 다음 기회에 지원 바랍니다.○컴퓨터 공학부 전공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컴퓨터 관련 과목 이수 내역, 컴퓨터 관련 평점을 모두 고려해서 선발합니다.나. 신청방법 (반드시 두 곳에서 신청해야 함)○ 서울대포털(mysnu.ac.kr)>학사정보>학적변동>신청>전공/과정신청에서 학생이 직접 신청○ https://apply.cse.snu.ac.kr 에서 신청 후 성적 증명서를 첨부파일로 제출다. 신청기간○ 복수전공: 2025. 10. 13.(월) 9:00 ~ 10. 17.(금) 17:00 <10월 31일(금) 18:00 합격 확정 / mySNU 전공신청화면에서 확인(불합격자는 ‘반려’로 표시됨) >○ 부전공: 2025. 11. 3.(월) 9:00 ~ 11. 7.(금) 17:00  < 11월 21일(금) 18:00 합격 확정 / mySNU 전공신청화면에서 확인(불합격자는 ‘반려’로 표시됨) >라.성적증명서 제출 안내- 성적증명서 출력– mySNU>학사정보>증명>확인서발급>인터넷증명발급-성적증명서 출력   "성적증명서에 기재되지 않은 과목(현재 수강하고 있는 과목 포함)은 심사에서 제외됩니다"○기한 내, https://apply.cse.snu.ac.kr 으로 성적증명서가 제출되지 않을 시 ‘지원의사 없음’으로 간주됩니다.○ 성적증명서 제출기한: 복수전공은 10 17.(금) 17:00까지! 부전공은 11. 7.(금) 17:00까지마. 학사과정 전공이수 규정○ 이수학점- 기본적으로 선발 시의 교과과정에 의하여 이수하되, 이수학점 변경 시에는 해당 학과(부)에서 정하는 바에 따름- 복수전공: 39학점 이상 이수- 부전공: 21학점 이상 이수바. 유의사항○ 동일전공으로 복수 및 부전공 이수 불가함에 유의 ○ 기 이수중인 동일전공으로 복수/부전공 선발될 경우 기 이수중인 다전공은 자동 취소됨 ○ 동일 학년도/학기에 동일전공으로 복수 및 부전공 동시 선발 불가○ 다전공생으로 선발된 학생의 학적 일괄 반영: 2026. 1. 16(금). 예정(서울대 학사과로 문의)○ 2026학년도 1학기 다전공 선발결과를 2025년도 전기(2026.2.25.) 졸업에 반영할 수 없음.○ 컴퓨터공학부 복수전공과 연합전공 인공지능에 중복 지원은 가능하나, 두 전공 중 하나만 이수할 수 있습니다(중복 졸업 불가). --> 중복 졸업이 불가한 사유는 [서울대 연합전공 인공지능 홈페이지] 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사. 문의○다전공생 교과목, 수업, 성적컴퓨터공학부 행정실(301동 316호) / 880-1850 / soyeoun7@snu.ac.kr/ 손소연○다전공생 선발(혹은 취소), 졸업컴퓨터공학부 행정실(301동 316호) / 880-1526 / kate0911@snu.ac.kr/ 이은주붙임 1. 다전공 신청 및 취소 화면 스크린샷 1부     2. 컴퓨터공학 관련 교과목(인정.불인정) 리스트 1부     3. 학생용 온라인 다전공 신청 매뉴얼 1부     4. 컴퓨터공학부 다전공 및 전과 가이드라인 1부. 끝.

[대학원 입시] 컴퓨터공학부 2026학년도 대학원 신입생 전기모집 안내

** 일반대학원 모집과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 모집은 중복지원이 불가능합니다.** 정년이 5년 미만의 교수님은 석박통합과정, 박사과정을 선발하지 않습니다.    (정년이 5년 미만의 교수님 명단 : 김지홍, 이광근, 장병탁, 하순회 교수님)** 정년이 2년 미만의 교수님은 석사과정, 석박통합과정, 박사과정을 선발하지 않습니다.(정년이 2년 미만의 교수님 명단 : 김선, 문봉기, 문병로, 박근수, 이상구 교수님)** 휴직 중인 교수님은 석사과정, 석박통합과정, 박사과정을 선발하지 않습니다.(휴직 중인 교수님 명단 : 전병곤, 에거버나드 교수님 )** 신임 교수님 : 유영재, 정대룡 교수님 (2025년 2학기), 유재민, 최수연 교수님 (2026년 1학기)​[컴퓨터공학부 2026학년도 대학원 신입생 전기모집 안내]1. 모집인원- 석사과정 : 19명- 석박사통합과정 : 33명- 박사과정 : 8명* 석박사통합과정은 학사학위자가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의 과정이 통합된 과정을 이수하는 것으로서, 통합과정 이수중단 시 학칙 및 규정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석사학위 수여가 가능합니다.2. 지원서 교부 및 접수 (인터넷)▶접수기간: 2025. 9. 22.(월) 10:00~9. 26.(금) 17:00까지 온라인 접수※ 본교 입학관리본부 홈페이지(http://admission.snu.ac.krhttp://admission.snu.ac.kr)에 접속하여 안내에 따라 입학지원서, 자기소개 및 수학(연구)계획서 온라인 접수하고 나머지 추가 서류(4번 사항)는 기간 내에 컴퓨터공학부 행정실에 필히 제출(미제출 시 탈락)※ 입학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희망전공 분야란에 ‘컴퓨터공학부’로 기재한다.3. 영어성적※ 지원서 접수마감일(2025. 9. 26.) 기준 2년 이내 응시하고 발표 완료, 서류제출일〔2025. 9. 29.(월)〕까지 성적을 제출한 경우로서, 입학지원서에 기재한 성적만 유효함. 다만, 본교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적(“본교 대학원 입학 시 또는 논문제출자격시험에서 인정받은” 석사학위자의 영어성적)은 지원서 접수마감일(2025. 9. 26.)기준 10년 이내 응시 성적만 인정 가능⇒ 해당 성적(응시회차 및 점수)은 출신 단과대학 교무행정실에서 확인 가능하며, 원서 작성 시 기재하여야 함※ TOEFL 점수 중 MyBest Scores를 제출하고자 하는 경우, 4개 영역 응시일자 중 가장 빠른 날짜가 지원서 접수마감일(2025. 9. 26.) 기준 2년 이내여야 함.※ 영어권 대학(원) 졸업(예정)자의 영어성적은 면제임(영어성적 제출이 면제된 최종 합격자는 해당 영어권 국가 소재 대학(원)의 졸업(학위)증명서 및 해당 증명서에 대한 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을 제출해야 함)4. 컴퓨터공학부 추가 제출 서류 (우편 혹은 방문)▶제출기한 : 2025. 9. 29(월) 17:00까지▶ 제출장소 : 컴퓨터공학부 행정실(301동 316호)* 우편 제출은 제출일 마감 도착분에 한함(반드시 등기로 보낼 것)(주소: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301동 316호 입시담당자 앞)※ 추가 제출 서류<석사과정>1) 학사 성적증명서 원본 1부 (편입학 졸업자는 전/후 성적표 각 1부)2) TOEFL인 경우 성적표 사본 또는 성적이 기재되어 있는 인터넷 출력물 1부(TEPS인 경우 온라인 접수 시 성적 기재만 하고 성적표은 별도로 제출하지 않아도 됨)3) 구술고사과목 신청서 1부: 4과목(소프트웨어의 기초, 하드웨어의 기초, 컴퓨터공학을 위한 수학, 컴퓨터시스템)중 2과목을 반드시 선택 기재 (첨부파일 다운받아 사용) <석박사통합과정>1) 학사 성적증명서 원본 1부 (편입학 졸업자는 전/후 성적표 각 1부)2) TOEFL인 경우 성적표 사본 또는 성적이 기재되어 있는 인터넷 출력물 1부(TEPS인 경우 온라인 접수 시 성적 기재만 하고 성적표은 별도로 제출하지 않아도 됨)3) 구술고사과목 신청서 1부: 4과목(소프트웨어의 기초, 하드웨어의 기초, 컴퓨터공학을 위한 수학, 컴퓨터시스템)중 2과목을 반드시 선택 기재 (첨부파일 다운받아 사용)<박사과정>1) 성적증명서 원본 1부 (학사/석사 성적증명서 각 1부)2) TOEFL인 경우 성적표 사본 또는 성적이 기재되어 있는 인터넷 출력물 1부(TEPS인 경우 온라인 접수 시 성적 기재만 하고 성적표은 별도로 제출하지 않아도 됨)3) 박사과정 지도교수 신청서 1부 (첨부파일 다운받아 사용)5. 구술고사과목 시험범위(석사/석박통합 과정)• 구술고사는 4과목(소프트웨어의 기초, 하드웨어의 기초, 컴퓨터공학을 위한 수학, 컴퓨터시스템) 중에서 지원자가 신청한 2과목에서 문제를 풉니다.- 각 과목 당 시험 범위는 다음과 같음.- 반드시 참고 도서로 준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시험 범위에서 다루는 주제들을 참조할 것.- 세부적인 내용을 묻는 문제보다는 가장 중요한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위주로 출제됨.과목명범위참고도서소프트웨어의 기초Chapter 2, 3, 6, 8-13쉽게 배우는 자료구조 with 자바 / 문병로 / 한빛미디어 / 2022하드웨어의 기초Chapter 9-11Foundations of Analog and Digital Electronic Circuits / Anant Agarwal, Jeffrey Lang / Morgan Kaufman / 2005Chapter 10Contemporary Logic Design / Katz / Prentice-Hall / 2012컴퓨터공학을 위한 수학Chapter 1-2, 5-7Discrete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 Kenneth H. Rosen / McGraw-Hill / 2019Chapter 7-8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 Erwin Kreyszig / John Wiley & Sons / 2011컴퓨터시스템Chapters 4-5Computer Organization and Design: The Hardware Software Interface / David A. Patterson, John L. Hennessy / Morgan Kaufmann / 20206. 수험표 교부- 교부기간: 2025. 10. 10(금) 면접 및 구술고사 당일 배부- 교부장소: 면접 및 구술고사 대기실 (추후공지)7. 선발일정 및 방식<석사 및 석박사통합과정>1) 선발일정일정내용비고2025. 10. 10(금)면접 및 구술고사면접 대기 시간, 장소컴퓨터공학부 홈페이지 추후공지2025. 10. 10(금) 저녁심층구술 면접 대상자 발표컴퓨터공학부 홈페이지2025. 10. 10(금) 저녁 ~ 10. 16(목) 오후개별 교수면담 및 연구실 탐방을 통한 전공탐색연구실 소개 자료 참고(https://cse.snu.ac.kr/research/labshttps://cse.snu.ac.kr/research/labs)2025. 10. 17(금)심층구술면접시간, 장소 추후공지 2) 선발방식(1) 서류심사, 구술고사, 심층구술면접을 통해 신입생을 선발한다.(2) 구술고사는 4과목(소프트웨어의 기초, 하드웨어의 기초, 컴퓨터공학을 위한 수학, 컴퓨터시스템)중에서 지원자가 신청한 2과목에서 2~3 문제를 푼다.(3) 서류심사와 구술고사 응시자의 일부를 대상으로 심층구술면접을 시행할 수 있다.(4) 심층구술면접 대상자는 정해진 기간 동안 본인이 선택한 연구실에 대해 개별 교수면담과 연구실 탐방 등을 통해 해당 전공분야를 심층 탐색해야 한다(반드시 한 명 이상의 교수와 면담할 것 / 연구실 소개 자료 :https://cse.snu.ac.kr/research/labshttps://cse.snu.ac.kr/research/labs)(5) 심층구술 면접은 연구실 탐색기간 종료 후 하루 동안 실시하고, 심층구술면접을 통해 연구실이 확정된 지원자가 최종 합격됩니다.< 박사과정 >1) 선발일정일정내용비고2025. 10. 10(금)면접 및 구술고사시간, 장소 추후공지2) 선발방식서류심사와 면접 및 구술고사를 통해 선발한다.8. 합격자 발표 : 2025. 11. 20(목) 18:00 이후(예정)※ 본교 입학관리본부 홈페이지(admission.snu.ac.kr)(서울대학교 ⇒ 입학 ⇒ 대학원 공지사항 ⇒ 합격자발표 ⇒ 성명, 생년월일과 수험번호로 검색)9. 문의처- 전화 : 02-880-7287 (컴퓨터공학부 행정실)- E-mail : srchu@snu.ac.krk767@snu.ac.kr[첨부]1) 2026학년도 대학원 전기모집 박사과정 지도교수 신청서 1부.2) 2026학년도 대학원 전기모집 석사/석박사통합과정 구술고사과목 신청서 1부.

[중요!] 컴퓨터공학부 대학원 입시 구술고사 교과목 변경 안내(2025학년도 전기 모집부터 적용)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부입니다.컴퓨터공학부 대학원 구술고사 교과목이 아래와 같이 변경되어 안내드리오니 컴퓨터공학부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반드시 아래 내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컴퓨터공학부 대학원 입시 구술고사 교과목 변경 안내] <변경 전> 석사 및 석사박사통합과정​• 구술고사는 4과목 (자료구조, 전자회로, 운영체제, 컴퓨터구조) 중에서 지원자가 신청한 2과목에서 문제를 풉니다.<변경 후>석사 및 석사박사통합과정• 구술고사는 4과목(소프트웨어의 기초, 하드웨어의 기초, 컴퓨터공학을 위한 수학, 컴퓨터시스템)  중에서 지원자가 신청한 2과목에서 문제를 풉니다. - 각 과목 당 시험 범위는 다음과 같음. - 반드시 참고 도서로 준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시험 범위에서 다루는 주제들을 참조할 것. - 세부적인 내용을 묻는 문제보다는 가장 중요한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위주로 출제됨.과목명범위참고도서소프트웨어의 기초Chapter 2, 3, 6, 8-13쉽게 배우는 자료구조 with 자바 / 문병로 / 한빛미디어 / 2022하드웨어의 기초Chapter 9-11Foundations of Analog and Digital Electronic Circuits / Anant Agarwal, Jeffrey Lang / Morgan Kaufman / 2005Chapter 10Contemporary Logic Design / Katz / Prentice-Hall / 2012컴퓨터공학을 위한 수학Chapter 1-2, 5-7Discrete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 Kenneth H. Rosen / McGraw-Hill / 2019Chapter 7-8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 / Erwin Kreyszig / John Wiley & Sons / 2011컴퓨터시스템Chapters 4-5Computer Organization and Design: The Hardware Software Interface / David A. Patterson, John L. Hennessy / Morgan Kaufmann / 2020

컴퓨터공학부 개설 전필 과목 수강취소 관련 추가 변경 사항 안내(취소 여석 관련)

컴퓨터공학부 개설 전필 과목의 경우 아래와 같이 시행하고 있으니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수강신청 변경 기간 이후 수강취소 시 교원 승인으로 일괄 적용함.- 개강 2주 이후에는 수강취소 불가- 수강신청 변경 기간 중에는 동일하게 승인 없이 변경 가능- (추가) 2025학년도 2학기부터는 컴퓨터공학부 개설 전필 과목에 한하여 수강신청 변경 기간 중 발생하는 취소 여석은 선착순 신청이 불가능하며, 정원외신청자 중 선별하여 승인할 예정(졸업예정자 중 주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연합전공 순)임.(수강신청 금전 거래 방지 등 목적)​* 컴퓨터공학부 전필 과목 리스트 *교과목번호(Course Code)강좌번호(Course Number)교과구분(Course Type)교과목명(Course Title, KOR)교과목명(Course Title, ENG)비고4190.101001전필(Major Required)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M1522.000600001전필(Major Required)컴퓨터프로그래밍Computer Programming M1522.000700001전필(Major Required)논리설계Logic Design M1522.000900 001전필(Major Required)자료구조Data Structures 4190.206A001전필(Major Required)전기전자회로Electrical and Electronic Circuits 2025년 부터 전필 ->전선 변경4190.308001전필(Major Required)컴퓨터구조Computer Architecture M1522.000800001전필(Major Required)시스템프로그래밍Systems Programming 4190.407001전필(Major Required)알고리즘Algorithms 감사합니다.

SNU Computing Commons 건축기금 모금

서울대학교 발전재단 X 컴퓨터공학부